채용공고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장

닥터 스트레인저 2022. 7. 2. 22:53

안녕하세요?

닥터 스트레인저입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장(경력개방형 직위) 공개모집 중입니다.

 

 

채용직위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위 주요 업무

  • 감염병 치료제 임상시험 정책 기획 및 설계
  • 감염병 치료제 및 후보물질 임상연구
  • 감염병 치료제 효능평가 연구 및 표준화 연구
  • 치료임상시험 지원에 관한 업무
  • 국내/외 치료임상 협력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운영/관리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중개연구
  • 항생물질 평가에 관한 연구

 

직위 당면 과제

  •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치료제 임상연구
  • 감염병 코호트 운영관리 및 중개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연구 등 임상연구 체계 강화

 

 

 

응시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수요건을 종합하면 공무원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현직 공무원이 아닌, 병역을 필한/면제된 사람입니다.

 

 

경력요건은 아래 요건 중 하나의 요건만 충족하면 응시 가능합니다.

관련분야 및 경력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련분야: 의학, 약학, 면역학, 바이러스학, 미생물학, 생물학, 보건학, 간호학 등 이와 관련된 분야
  • 경력: 공무원 경력 또는 민간 근무/연구 경력을 의미(학위취득에 소요되는 대학조교 경력 등 학위과정 경력은 제외)

 

 

 

채용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급: 임기제 보건연구관

임기: 3년

보수

  • 기본연봉: 6343만원 이상
  • 성과연봉: 업무실적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다음연도에 지급
  • 연봉 외 급여(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가족수당 등): 별도 지급

근무지: 질병관리청(충청북도 청주시)

 

 

 

시험방법은 서류전형 및 면접시험입니다.

시험일정 및 장소는 2022. 7월 ~ 2022. 9월 중 경기도 과천시입니다.

 

 

 

 

제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조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료임상연구과 정/현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위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염병 치료제 임상시험 정책 기획 및 설계
  • 감염병 치료제 및 후보물질 임상연구
  • 치료임상시험 지원에 관한 업무
  • 국내/외 치료임상 협력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운영/관리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중개연구
  • 항생물질 평가에 관한 연구

 

 

 

주요 업무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상시험 기획 및 지원

수행목적

  • 임상시험 협력 체계 구축
  • 임상시험 지원 플랫폼 개발 및 연구성과 실용화
  • 산/학/연/병 협력 및 임상 시험 연계/지원 통한 치료제 실용화 성과 도출

 

중점 추진 방향

  • 국내/외 임상 네트워크 강화 및 선도적 지원을 통한 임상시험 지원 및 성과 창출
  • 방역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시험 연계 등 지원
  • 임상시험 검체분석기관 실험실 구축을 통한 치료제 임상시험 효능평가 지원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지원 및 연계 연구강화를 통한 선제적 감염병 대응
  •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대응할 수 있는 감염병 R&D 거버넌스 체계 완성

 

 

감염병 코호트 운영 및 중개연구 수행

수행목적

  • 체계적 코호트 운영 통한 유용자원 수직(정보+생물자원)
  • 코호트 자원을 활용한 감염병 중개연구 활성화
  • 감염병 예방/관리 정책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 산출
  • 감염병 제어의 새로운 요인 변화를 반영한 맞춤형 국가 예방/관리정책 수립 근거 마련

 

중점 추진 방향

  • 코호트 운영/관리 체계 고도화
  • 자료 및 생물자원 정제 체계 구축 및 고품질화
  • 코호트 자원 활용성 제고 및 중개연구 활성화

 

기대효과

  • 고품질 코호트 자원 기반 연구를 통해 감염병 관리/예방 정책에 반영 가능한 과학적 근거 산출

 

 

코로나19 후유증 연구 등 임상연구 체계 강화

수행목적

  • 감염병 환자 대상 치료제 효능평가 임상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등 실제 임상기반의 임상연구 자료 및 활용체계 구축
  • 감염병 환자 관리, 치료전략 등 정책수립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

 

중점 추진 방향

  • 감염병 치료제 임상효능 평가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코호트 운영을 통한 임상 및 중개연구,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 코로나19 후유증 등 감염병 임상자료 및 연구검체 DB 및 활용체계 구축 및 운영

 

기대효과

  • 코로나19 후유증 조사를 통한 감염인 관리정책 근거 자료 산출
  • 미래 감염병 대비 임상연구 및 구축된 자료 활용 체계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