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공고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장
닥터 스트레인저
2022. 7. 2. 22:53
안녕하세요?
닥터 스트레인저입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치료임상연구과장(경력개방형 직위) 공개모집 중입니다.
채용직위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위 주요 업무
- 감염병 치료제 임상시험 정책 기획 및 설계
- 감염병 치료제 및 후보물질 임상연구
- 감염병 치료제 효능평가 연구 및 표준화 연구
- 치료임상시험 지원에 관한 업무
- 국내/외 치료임상 협력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운영/관리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중개연구
- 항생물질 평가에 관한 연구
직위 당면 과제
-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 치료제 임상연구
- 감염병 코호트 운영관리 및 중개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연구 등 임상연구 체계 강화
응시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수요건을 종합하면 공무원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현직 공무원이 아닌, 병역을 필한/면제된 사람입니다.
경력요건은 아래 요건 중 하나의 요건만 충족하면 응시 가능합니다.
관련분야 및 경력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련분야: 의학, 약학, 면역학, 바이러스학, 미생물학, 생물학, 보건학, 간호학 등 이와 관련된 분야
- 경력: 공무원 경력 또는 민간 근무/연구 경력을 의미(학위취득에 소요되는 대학조교 경력 등 학위과정 경력은 제외)
채용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급: 임기제 보건연구관
임기: 3년
보수
- 기본연봉: 6343만원 이상
- 성과연봉: 업무실적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다음연도에 지급
- 연봉 외 급여(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가족수당 등): 별도 지급
근무지: 질병관리청(충청북도 청주시)
시험방법은 서류전형 및 면접시험입니다.
시험일정 및 장소는 2022. 7월 ~ 2022. 9월 중 경기도 과천시입니다.
제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립감염병연구소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 조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료임상연구과 정/현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위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염병 치료제 임상시험 정책 기획 및 설계
- 감염병 치료제 및 후보물질 임상연구
- 치료임상시험 지원에 관한 업무
- 국내/외 치료임상 협력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운영/관리에 관한 업무
- 감염질환코호트 중개연구
- 항생물질 평가에 관한 연구
주요 업무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상시험 기획 및 지원
수행목적
- 임상시험 협력 체계 구축
- 임상시험 지원 플랫폼 개발 및 연구성과 실용화
- 산/학/연/병 협력 및 임상 시험 연계/지원 통한 치료제 실용화 성과 도출
중점 추진 방향
- 국내/외 임상 네트워크 강화 및 선도적 지원을 통한 임상시험 지원 및 성과 창출
- 방역현장 수요를 중심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치료제 후보물질 임상시험 연계 등 지원
- 임상시험 검체분석기관 실험실 구축을 통한 치료제 임상시험 효능평가 지원
기대효과
- 임상시험 지원 및 연계 연구강화를 통한 선제적 감염병 대응
- 신변종 감염병에 신속대응할 수 있는 감염병 R&D 거버넌스 체계 완성
감염병 코호트 운영 및 중개연구 수행
수행목적
- 체계적 코호트 운영 통한 유용자원 수직(정보+생물자원)
- 코호트 자원을 활용한 감염병 중개연구 활성화
- 감염병 예방/관리 정책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 산출
- 감염병 제어의 새로운 요인 변화를 반영한 맞춤형 국가 예방/관리정책 수립 근거 마련
중점 추진 방향
- 코호트 운영/관리 체계 고도화
- 자료 및 생물자원 정제 체계 구축 및 고품질화
- 코호트 자원 활용성 제고 및 중개연구 활성화
기대효과
- 고품질 코호트 자원 기반 연구를 통해 감염병 관리/예방 정책에 반영 가능한 과학적 근거 산출
코로나19 후유증 연구 등 임상연구 체계 강화
수행목적
- 감염병 환자 대상 치료제 효능평가 임상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등 실제 임상기반의 임상연구 자료 및 활용체계 구축
- 감염병 환자 관리, 치료전략 등 정책수립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
중점 추진 방향
- 감염병 치료제 임상효능 평가연구
- 코로나19 후유증 코호트 운영을 통한 임상 및 중개연구,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 코로나19 후유증 등 감염병 임상자료 및 연구검체 DB 및 활용체계 구축 및 운영
기대효과
- 코로나19 후유증 조사를 통한 감염인 관리정책 근거 자료 산출
- 미래 감염병 대비 임상연구 및 구축된 자료 활용 체계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