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7

의대교수 안녕하세요? 닥터 스트레인저입니다. 오늘은 의대교수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먼저 의대교수 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의대교수가 되는 길은 기초의학이냐, 임상의학이냐에 따라 과정이 좀 다릅니다. 기초의학의 경우, 의학과가 아닌 다른 과와 마찬가지로 석박사 과정을 하고 교수가 됩니다. 물론 자리가 있어야 하고 경쟁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의사가 의대교수 되기는 다른 과 전공자가 그 과 교수되기 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먼저 의대교수는 정년퇴직 전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시다시피 중간에 나가서 개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기초의학교수의 경우 임상의사에 비해 연봉이 적기 때문에 의사들의 지원률이 저조합니다. 제가 의대생 때도 후계자가 없는 기초의학 .. 2021. 1. 30.
의사되는 법 및 수련 과정 안녕하세요? 닥터 스트레인저입니다. 오늘은 의사되는 법 및 수련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의사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다음의 네 가지로 파악됩니다. 1. 대학입시를 통해 의과대학 진학 2. 대학 재학 중 의과대학 편입 3. 대학 학부 졸업 후 의학전문대학원 진학 4. 외국 의과대학 졸업 후 우리나라 의사국가시험 합격 각각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다루겠습니다. 의대 진학 후 의사 수련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의예과(2년) 의학과(4년) 인턴(1년) 레지던트(4년) 의예과의 예는 한자로는 豫(미리 예)입니다. 제가 고등학생 때 왜 의예과의 '예'자가 '미리 예'자를 쓰는지 한문선생님께 여쭤봤지만 선생님도 이유를 모르겠다고 하셨습니다. 나중에 의대에 가고 나서야 그 의미를 알게 .. 2021. 1. 26.
의사의 적성과 자질 안녕하세요? 닥터 스트레인저입니다. 오늘은 의사의 적성과 자질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의대를 가기 위해서는 물론 학업성적이 좋아야 하겠지만, 의대에 갈 수 있는 성적이 되더라도 나는 과연 의사가 적성에 맞을까 고민하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주위에서 피를 무서워하거나 비위가 약하다는 사람들을 간혹 보게되며, 그들은 의사를 시켜줘도 못하겠다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의대를 다니다가 적성에 맞지않아 그만두는 경우를 직접 보기는 어려웠습니다. 다만, 의대는 한 과목만 F학점을 받아도 유급이 되어 그 학년을 다시 다녀야 하는데, 수차례 유급을 당하다가 의대를 그만두는 경우는 주위에 있었습니다. 심지어 당시 의대 학장님 말씀으로는 자신의 동기 중에 의사고시를 계속 떨어져서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는.. 2021. 1. 25.
반응형